주정차 위반 과태료는 살면서 정말 내기 아까운 돈입니다. 주정차 위반인 줄도 몰랐다가 과태료를 납부해야 한 적도 종종 있습니다. 최대 200만원의 과태료를 납부해야 될 수도 있다고 하니 아래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주정차 위반 과태료 금액
주정차 위반 과태료 예상 금액입니다.
구역별로 3개 (일반지역, 노인보호구역 및 소방시설 부근, 어린이 보호구역)로 나누어져 있고, 차종별 (승용차, 승합차)에 따라 부과되는 과태료 금액이 차이가 있습니다.
구분 | 차종 | 과태료 |
---|---|---|
일반 지역 | 승용차, 화물차 (4톤 이하) | 40,000 |
승합차, 화물차 (4톤 초과) | 50,000 | |
노인보호구역 및 소방시설 부근 | 승용차, 화물차 (4톤이하) | 80,000 |
승합차 , 화물차(4톤 초과) | 90,000 | |
어린이 보호구역 | 승용차, 화물차 (4톤 이하) | 120,000 |
승합차, 화물차 (4톤 초과) | 130,000 |
어린이 보호구역, 장애인 보호구역, 노인보호구역에서 법규 위반 시 과태료, 범칙금, 벌점을 기존에 비해 2배를 부과합니다. 납부하기 전 내가 어느 구역에서 위반했는지 과태료를 미리 예상하고 있어야 손해를 보지 않습니다.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의 주, 정차 위반은 최대 2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고 합니다.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에서도 구역마다 과태료가 다를 수 있으니 확인해 보세요.
주정차 위반 과태료 조회
<주정차 위반 과태료 조회하기>
아래의 표를 보시면 차종에 따라, 위반지역에 따라 감액된 금액과 가산금을 확인 및 조회 가능합니다.
고지서가 도착하기 전에 주정차 위반 과태료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서울시 외 거주자 분들이 조회 가능한 링크입니다.
조회하시고 나는 도저히 과태료를 인정할 수 없다! 하시는 분은 아래의 방법으로 의견진술 하시고 과태료 면제받으실 수 있습니다.
과태료 의견진술서 제출
<지금 바로 이의 신청하기>
주정차 위반 의견진술 (의견진술서 제출)
내가 납득할 수 없는 주정차 위반 과태료가 부과되는 경우에는 의견진술서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심사 후 과태료 면제를 받으실 수도 있기 때문인데요. 제출하는 방법을 아래에서 확인해 보실
judia.vodia3535.com
주정차 위반 시 의견 진술서를 제출하시고 심사를 거친 후 과태료 면제 되기도 합니다. 의견진술서 양식과 제출하는 방법 상세히 알려두었으니 한번 확인해보시고 신청해 보세요. 과태료 내기 전에 진행하셔야 합니다.
의견진술서를 작성하지 않고 납부하기를 원하신다면 최대한 일찍 납부하시면 좋습니다. 자진 납부 시에는 과태료의 20%를 감액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에서 한번 확인 후 납부하실 수 있습니다.
주정차 위반 과태료 납부방법
<과태료 납부하러 바로가기>
늦게 내면 가산금 3%에 매월 가산금이 1.2% 더 붙는 거 알고 계신가요? 거기다 재산 압류까지 될 수 있습니다.
단, 자진 납부 했을 경우에는 20% 감액해준다고 하니 아래에서 서둘러 납부하셔서 손해를 덜 보시길 바랍니다.
주정차 위반 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
다시는 우리 주정차 위반 과태료를 내고 싶지 않습니다. 이 서비스를 신청해 놓으시면 주정차 단속 시 알려주기 때문에 신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알람을 받고 5분 내로 서둘러 차를 다른 곳으로 주차하시면 과태료 납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래도 최대한 주차 구역에 주차를 하시는 것이 중요하겠죠? 아래에서 간단하게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주정차 단속 알림 서비스 (시스템, 가입)
주정차 단속 알 서비스 (시스템) 가입은 필수입니다. 제 지인들은 다들 가입해서 쓰고 있고 아주 만족 하고 있습니다. 전국 어느지역이든 가입 가능하니 확인해보세요. 아래에서 쉽게 가입하실
gadia.vodia3535.com
'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검사 과태료 조회 (납부, 미납시, 기간연장신청, 과태료 면제) (0) | 2023.06.29 |
---|---|
자동차 환급금 신청(조회, 채권환급, 5년이상) (0) | 2023.06.24 |
근로장려금 지급일 (신청, 기한 후, 반기) (0) | 2023.06.21 |
국민 연금 수령 시기(나이,수령액,조기 수령, 일시금, 기초노령) (0) | 2023.06.19 |
경차 자동차세 납부 (시기, 금액, 연납) (0) | 2023.06.17 |